개발자의 개발괴발

[Kubernetes] Mac에서 k8s 연습하기(feat. minikube) 본문

개발/kubernetes

[Kubernetes] Mac에서 k8s 연습하기(feat. minikube)

휘발성 기억력 2025. 2. 26. 23:19
반응형

Kubernetes를 공부해보고 싶고 사용해보고 싶지만 내가 쓸 수 있는 예산은 한계가 있다.

제대로 된 kubernetes를 운영해보려면 최소 3대는 있어야 kubernetes를 맛볼 수 있다.


 

그래서 공부하거나 간단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minikube를 이용하는 것이다.

나는 M2 Macbook Air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minikube를 설치하고 실행해보려고 한다.

minikube를 설치하기 위해선 아래 두가지를 먼저 설치해야한다.

- docker

- kubectl

- k9s(optional)


Docker 설치

설치는 간단하다.

google에서 docker desktop을 검색해서 페이지 진입 후, 아래로 내리면 Download Docker Desktop을 클릭해서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한다.

설치 후 실행을 하면 작업표시줄에 docker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kubectl 설치

mac은 brew라는 패키지 관리자가 있어서 편리하다.

terminal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kubectl

install 후에 kubectl을 실행시켜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성공!

$ kubectl
kubectl controls the Kubernetes cluster manager.

 Find more information at: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

Basic Commands (Beginner):
  create          Create a resource from a file or from stdin
  expose          Take a replication controller, service, deployment or pod and expose it as a new
Kubernetes service
  run             Run a particular image on the cluster
  set             Set specific features on objects

Basic Commands (Intermediate):
  explain         Get documentation for a resource
  get             Display one or many resources
  edit            Edit a resource on the server
  delete          Delete resources by file names, stdin, resources and names, or by resources and
label selector

k9s 설치(Optional)

필수는 아니지만 kubernetes의 workload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툴을 설치하자

brew install k9s

설치 후 k9s는 minikube를 설치 후에 실행해보도록 하자

실행하면 아래 그림 느낌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것이다.


minikube 설치

본격적으로 minikube를 설치해보자

역시 설치는 간단하다.

brew install minikube

설치를 완료했으면 시작을 해보자.

minikube start

아마도 큰 문제가 없으면 위 그림과 같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