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roduce
- http
- offset
- consumer group
- tls disable
- Helm
- es
- create topic
- kibana
- Kubernetes
- broker
- kafka broker
- minikube
- eck
- Golang
- Producer
- topic
- Consumer
- ElasticSearch
- elastic
- partition
- Message
- loadbalance
- kafka-connect
- Kafka
- Elk
- command
- Kafka Connect
- 쿠버네티스
- k8s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개발괴발
[kubernetes] port forwarding 본문
반응형
동작중인 pod에 접속을 해보고 싶을 때가 있다.
pod에 접속해서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해보거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할때 말이다.
이럴때 포트포워딩을 사용하면 된다.
포트 포워딩하는 법은 간단하다.
먼저 아래 명령어로 pod을 확인한다.
$ k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bitnami-kafka-controller-0 2/2 Running 0 4h30m
bitnami-kafka-controller-1 2/2 Running 0 4h30m
bitnami-kafka-controller-2 2/2 Running 0 4h31m
bitnami-kafka-controller-0에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보도록 하자
$ k port-forward pods/bitnami-kafka-controller-0 9092:9092
Forwarding from 127.0.0.1:9092 -> 9092
Forwarding from [::1]:9092 -> 9092
위 명령어는 pods/bitnami-kafka-controller-0에 포트포워딩을 설정할 것이다.
localhost의 9092(왼쪽)번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pods/bitnami-kafka-controller-0의 9092(오른쪽)번 포트로 포워딩한다라고 이해하면 쉽다.
반응형
'개발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connect 배포하기 (0) | 2025.03.19 |
---|---|
[postgresql] minikube에 postgersql 배포하기 (0) | 2025.03.16 |
[kubernetes] headless service란? (0) | 2025.03.06 |
[kubernetes] loadbalancer type service 사용하기 (0) | 2025.03.03 |
[Kubernetes] Mac에서 k8s 연습하기(feat. minikube) (0) | 2025.02.26 |